Raspberry pi OS 고정 IP 할당(Static IP)
이전 글에서 한 것을 토대로 Raspberry pi 에 ping 명령어로 google 이 아닌 naver 로 보냈는데 안가는 현상으로 인해 동적 IP 라서 그런가 하고 고정 IP 에 대해 설정하는 법을 찾다가 이렇게 기록으로 남기게 되었다. (결국은 다른 문제..ㅠㅠ)
환경
Raspberry pi 3 B+
Raspberry pi OS
편집기 : nano
먼저 ifconfig 명령어 사용 시 eth0 가 보이지 않고 enx[하드웨어주소] 로 뜨길래 raspi-config 설정에서 변경해줬다.
ifconfig 명령어 사용했을 때 eth0 가 아닌 e로 시작하는 복잡한 이름이 나올 경우
$ sudo raspi-config
raspi-config -> Advanced Options -> Network Interface Name 를 찾은 후 DISABLE 로 변경 후 finish
재부팅까지 하고 나면 ifconfig 했을 때 eth0 가 보일겁니다.
현재 Raspberry pi OS 에서는 고정 IP 할당을 위해서라면 /etc/dhcpcd.conf 파일을 통해 할당 해야 합니다.
먼저, 자신의 고정 IP 정보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. (모르는 경우 명령어를 이용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.)
IP, GATEWAY, DNS, NETMASK 를 알고 있는 상태로
$ sudo nano /etc/dhcpcd.conf
파일의 맨 마지막으로 내려가서
interface eth0
static ip_address=IP
static routers=GATEWAY
static domain_name_servers=DNS
static netmask=NETMASK
추가한 후 파일을 저장합니다. (nano 편집기 파일 저장 명령어 Ctrl+X
-> y
-> Enter
)
$ sudo reboot
재부팅 후 ifconfig
명령어 사용하면 eth0 에 고정 아이피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